배포/aws

EC2에 내 프로젝트 클론하기, 리눅스 명령어 파악하기, env파일 생성하기

황대성 2025. 4. 18. 20:21

📋 개요

EC2에 접속했다면 먼저 필요한건 내가 만든 프로젝트이다.

이것은 생각보다 간단하다.

하지만 EC2에 클론을 했다고 해서 내 컴퓨터의 바탕화면처럼 눈에 보이는 것이 아니다.

그렇기 때문에 EC2에 내 프로젝트가 잘 들어왔는지 확인하기 위해서는 리눅스 명령어를 공부할 필요가 있었다.

프로젝트를 클론하면서 필요했던 리눅스 명령어,

그리고 env파일을 생성하는 방법까지 같이 알아보도록 하자.

바로 시작해보자.

 

🗐 내 프로젝트 클론하기

EC2(대여 컴퓨터)에 내 프로젝트를 클론하는 건 다른게 없다.

똑같이 깃허브에서 배포하고자 하는 프로젝트 주소를 복사해서 사용해주면 된다.

git clone 프로젝트 주소

 

🌍 리눅스 명령어

명령어 설명
ls 현재 디렉토리 목록 보기
cd 디렉토리 이동
pwd 현재 위치 경로 확인
mkdir 디렉토리 만들기
rmdir 빈 폴더 삭제(폴더 안에 파일이 존재할 경우 삭제 되지 않음)
rm -r 디렉토리 + 안의 내용 삭제(빈 폴더가 아닌 경우에도 삭제 가능)
touch 빈 파일 만들기
cp 파일/디렉토리 복사
mv 파일/디렉토리 이동 or 이름 변경

 

❓ 클론을 하긴 했는데 잘 된건가?

간단하게 리눅스 명령어인 ls를 사용하면 현재 루트에 존재하는 모든 파일을 확인할 수 있다.

아래와 같이 잘 들어왔다.

 

 

🤔 env 파일은 어떻게 해야되는 건가

내가 찾아본 방법은 이렇다.

첫번째로는 env 파일을 생성한다.

그리고 env 파일에 필요한 환경변수들을 작성해 준다.

일단 이 방법대로 한번 해보자.

 

 

1️⃣ env 파일 생성하기

touch .env

 

 

여기서 env 파일이 잘 생성 되었는지 확인하기 위해서는 리눅스 명령어인 ls를 사용하면 되는데

ls 사용하면 env 파일이 생성되었는지 확인 되지 않는다.

이유는 env파일은 숨김 처리된 파일이기 때문이다.

그렇기 때문에 env파일(숨김 처리된 파일) 까지 확인하기 위해서는 "ls -a"라는 명령어를 사용해야 한다. 

 

 

 

2️⃣ 환경변수 작성하기

환경 변수를 작성하기 위해서는 리눅스 "nano"라는 것을 사용한다.


🔎 nano 란?

쉽게 말하면,

파일 편집기라고 생각하면 된다.

 

기본적으로 설치되어 있지만 설치되어 있지 않다면 

설치해야 한다.

nano 편집할파일명

 


작성해보자.

nano .env

 

위의 명령어를 입력하면 아래와 같은 화면이 나온다.

 

그냥 위의 화면에 복사, 붙여넣기 하면 끝이다.

근데 ctrl + v로는 붙여넣기가 안되니 마우스로 하면 된다.(Paste)

붙여넣기가 완료되었다면 ctrl + s 로 저장 후 ctrl + x로 위의 화면에서 탈출하자.

 

 

✅환경변수가 잘 들어갔는지 확인하기

cat .env

 

잘 들어온 것 같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