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발일기
가비아 도메인과 EC2 연결하기 (Route53 사용 안함) 본문
📋 개요
도메인 연결은 선택사항이지만
그래도 해보면 좋은 경험이 될거 같아서 연결해 보려고 한다.
돈을 많이 쓰고 싶진 않기 때문에 500원에 판매하는 도메인을 구매해서 사용하기로 했다.
구글링을 해보면서 찾아봤는데 AWS의 Route53이란 걸 많이 사용해서 도메인을 연결하는 블로그가 많았다.
그래서 Route53을 또 구글링해 본 결과 돈을 지불하고 사용해야 한다.
Route53을 꼭 써야 할까? 가비아 DNS만으로 충분하지 않을까?
한번 알아보자.
🌐 도메인 연결하기
1️⃣ 가비아 도메인 구매하기
가비아에 로그인한 후에 원하는 사이트 주소를 입력한다.
원하는 도메인 이름 또는 가장 저렴한 도메인을 선택한다.
구매 단계에서 여기서 뭘 선택해야 되는 거지? 하는게 네임 서버이다.
네임 서버가 무엇인지 확인해 보자.
🧠 네임서버란?
**네임서버(Name Server)**는 도메인 이름이 실제 어디(IP 주소 등)를 가리키는지를 알려주는 서버다.
쉽게 말해, 도메인의 전화번호부 역할을 한다.
❓ 정확히 어떤 역할을 하는거지?
- 누군가 www.example.com에 접속
- 브라우저는 이 도메인의 IP 주소를 알고 있는 네임서버가 어디인지 물어봄
- 네임서버는 **해당 도메인의 DNS 레코드(A, CNAME 등)**를 찾아서 알려줌
- 그걸 기반으로 최종적으로 웹사이트에 접속하게 됨
🤔 그러면 네임서버 어떤거 선택해야해?
사실 나도 사용해본적이 없어서 잘 모르겠다.
타사 네임서버로는 Route53, Cloudflare를 사용한다고 한다.
한가지 확실한 것은 현재 배포 진행중인 사이트가 https 인데 타사 네임서버를 사용하면
SSL 인증서를 따로 설치할 필요 없이 자동 발급 된다는 것이다.
하지만 유료이므로 우리는 가비아 네임서버를 사용하도록 하자.
2️⃣ DNS 설정하기
1. 구매를 완료 했다면 My 가비아 -> 서비스 관리로 들어가면 구매한 도메인이 보인다.
2. 관리를 클릭한 후 들어가서 아래로 내리다보면 DNS 정보가 나오는데 여기서 DNS 레코드 설정으로 들어간다.
3. DNS 설정에서 내 도메인에 보이는 설정에 들어간다.
4. 레코드 수정으로 들어가서 아래와 같이 설정한다.
✅ 타입(Type)이란?
DNS 레코드에는 다양한 타입이 있고, 각각 역할이 다르다
가장 많이 쓰이는 건 A 레코드와 CNAME 레코드이다.
우리는 A 레코드를 사용하고, AWS의 퍼블릭 IPv4 주소와 연결해서 도메인 입력시 퍼블릭 IPv4 주소로 이동한다.
타입 | 설명 |
A | 호스트명을 IP 주소에 연결 (IPv4) |
AAAA | 호스트명을 IPv6 주소에 연결 |
CNAME | 다른 도메인 이름에 연결 |
MX | 이메일 서버 설정할 때 사용 |
TXT | 도메인 소유 인증, 보안 등 다양한 텍스트 정보 |
✅ 호스트란?
어떤 서브도메인을 설정할 것인지를 정하는 항목이다.
호스트 값 | 의미 |
@ | 도메인 자체 (예: yourdomain.com) |
www | 서브도메인 (예: www.yourdomain.com) |
api | 서브도메인 (예: api.yourdomain.com), |
⏱️ TTL (Time To Live) 이란?
“이 DNS 정보는 얼마나 오래 유지해야 하는가?”를 정하는 유효 시간이다.
DNS 정보를 저장하는 **캐시(Cache)**가 얼마나 오래 그 정보를 유지할지를 결정하는 값이다.
마무리
이렇게 연결이 끝나면 도메인 주소로 들어가면 웹사이트가 정상 작동 할것이다. https가 아닌 이상.
만약 https라면 도메인 연결을 완료해도 웹사이트가 정상 작동 하지 않는 것으로 알고 있다.
그렇기 때문에 우리는 따로 SSL 인증을 받아야 한다.
그것은 다음 블로그에서 다루도록 하겠다.
'배포 > aws' 카테고리의 다른 글
NginX, Certbot으로 HTTPS 인증하기 (0) | 2025.04.23 |
---|---|
AWS EC2 배포 환경 만들기 (준비하기) (0) | 2025.04.19 |
EC2에 내 프로젝트 클론하기, 리눅스 명령어 파악하기, env파일 생성하기 (0) | 2025.04.18 |
AWS EC2 인바운드 규칙, 포트 설정 하기 (0) | 2025.04.18 |
EC2 생성하기 및 탄력적 IP 연결하기, 인스턴스 연결하기 (0) | 2025.04.1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