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 CI
- ec2
- 로드 밸런싱
- 자동화
- aws
- 브라우저
- 이미지 포맷 변경
- gitgub actions
- TLS
- nextJS
- 인증서
- 검색엔진최적화
- 이미지 최적화
- SSL
- 이미지 압축
- DNS
- SSH
- workflow
- tcp
- webp
- 성능 개선
- certbot
- 렌더링 과정
- https
- 리버스 프록시
- 3-Way HandShake
- 무중단
- nginx
- pm2
- 배포
- Today
- Total
목록Javascript (7)
개발일기
✅ 객체의 기본 구조const obj = {key : value,};객체는 기본적으로 키(key)와 값(value)로 이루어져 있음 1️⃣ 점 표기법const obj = {key : value,};console.log(obj.key); // Expected output: "value" 가장 일반적인 방식정적인 키를 접근할 때 사용문자열이 아니라 실제 키 이름이어야 함 2️⃣ 대괄호 표기법 - 문자열const obj = {key : value,};console.log(obj["key"]); // expected output: "value" 키 이름을 문자열로 직접 쓸 때 사용 키에 공백, 특수문자가 있거나 숫자로 시작할 때도 사용 가능 const obj = {"my key": 123};console.lo..
개요변수에 대한 호이스팅은 포스팅 한거 같은데 함수에 대한 호이스팅은 포스팅 하지 않은 것 같다. 생각보다 간단해서 간단간단하게 포스팅 할 예정이다. 호이스팅이란?JavaScript 호이스팅은 인터프리터가 코드를 실행하기 전에 함수, 변수, 클래스 또는 import의 선언문을 해당 범위의 맨 위로 끌어올리는 것처럼 보이는 현상을 뜻한다. 함수 선언식(Function declarations)간단하게 함수 선언을 function으로 시작 한다. 함수 선언식은 호이스팅 된다. 아래 예제를 확인하자.fn1() // Output : "Function declarations"function fn1 () { console.log("Function declarations")} 함수 표현식(Function exp..
개요알고리즘을 풀면서 split, slice, splice를 사용하면 금방 풀릴거 같을 문제가 있다. 근데 뭐가 어떤 기능을 하는지 까먹는다. 이런 내가 싫다. 그래서 기록하면서 기억할 수 있도록 적어보려고 한다. split split() 메서드는 String 객체를 지정한 구분자를 이용하여 여러 개의 문자열로 나눕니다. 공식문서에 나온 설명이다. 한번 하나씩 사용해 보도록 하자. 1. 구분자 사용하지 않기const string = "i like banana"console.log(string.split())// Expected output: [ 'i like banana' ] 어떠한 구분자를 사용하지 않고, split 자체를 사용할 시 string을 담은 배열이 나온다. 그렇다면 구분자를 사용해보자. 2..
1. 배열 구조분해할당 1-1 배열 요소에 접근하는 방법 const array = ["사과","바나나",'오렌지'] const apple = array[0] const banana = array[1] const orange = array[2] console.log(apple,banana,orange) // Expected output: 사과 바나나 오렌지 1-2 배열 요소에 구조분해할당으로 접근하는 방법 const array = ["사과","바나나",'오렌지'] const [apple,banana,orange] = array ; console.log(apple,banana,orange) // Expected output: 사과 바나나 오렌지 ※ 주의할 점 배열은 요소의 인덱스값에 따라(?) 구조분해할당을..
1.얕은 복사복사본의 속성이 복사본이 만들어진 원본 객체와 같은 참조(메모리 내의 같은 값을 가리킴)를 공유하는 복사이다.var person = { name: 'Lee'};var copy = person;copy.name = 'Kim'console.log(person) //{name : 'Kim'}console.log(copy) //{name : 'Kim'} 따라서 위와 같이 원본이나 복사본을 변경하면, 다른 객체 또한 변경될 수 있다. 2.얕은 복사 방법1. Array.prototype.slice()앝은 복사 방법의 대표적인 방법이다. slice() 메서드는 어떤 배열의 begin부터 end 까지 (end 미포함)에 대한 얕은 복사본을 새로운 배열 객체로 반환한다. 원본 배열은 바뀌지 않는다. ..
원시타입과 객체타입1. 원시타입이란 ?원시타입은 변경이 불가능한 값이다. 원시 값을 변수에 할당하면 변수에는 실제 값이 저장된다.var score = 80;var copy = score;console.log(score); //80console.log(copy); //80score = 100;console.log(score); //100console.log(copy); //80 값에 의한 전달변수에 원시 값을 갖는 변수를 할당하면 할당받는 변수(copy)에는 할당되는 변수(score)의 원시 값이 복사되어 전달된다.이를 값에 의한 전달 이라 한다. var score = 80;var copy = score;console.log(score,copy); //80 80console.log(score === cop..
1.var의 특징첫번째,가장 기본적인 특징으로는 재정의와 재선언이 가능하다.아래와 같이 같은 변수 이름에 다른 값을 할당할 수 있다는 특징이 있다.let과 const가 생긴 가장 큰 문제가 아닐까 한다.var a = 1;console.log(a)//expected output : 1var a = 2;console.log(a)//expected output : 2 두번째,var로 선언한 변수는 호이스팅 되면서 변수는 메모리에 할당되지만 아직 값을 가지지 않으며 undefined로 초기화가 된다.변수를 선언하기 전에 해당 변수를 사용하더라도 오류가 발생하지 않고 undefined가 반환된다.console.log(a)//expected output : undefinedvar a = 1console.log(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