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발일기
캐시와 메모리 할당 본문
1. 캐시
- 데이터를 미리 복사해 놓는 임시 저장소
- 빠른 장치와 느린 장치에서 속도 차이에 따른 병목 현상을 줄이기 위한 메모리
- 데이터 접근에 오래 걸리는 경우를 해결하고 다시 계산하는 시간을 절약
- 즉, 캐시는 계층과 계층 사이에서 속도차이를 해결하기 위한 임시 저장소이다.
지역성의 원리
- 최근 사용한 데이터나 최근 접근한 데이터를 이루고 있는 공간, 그 가까운 공간에 접근하는 특성
2 메모리 할당
연속할당
고정 분할 방식
- 메모리를 미리 나누어서 관리하는 방식
내부 단편화 발생
- 메모리를 나눈 크기보다 프로그램이 작아서 들어가지 못하는 공간이 많이 발생하는 현상
가변 분할 방식
- 매 시점 프로그램의 크기에 맞게 동적으로 메모리를 나눠 사용하는 방식
외부 단편화 발생
- 메모리를 나눈 크기보다 프로그램이 작아서 들어가지 못하는 공간이 많이 발생하는 현상
불연속 할당
- 메모리를 동일한 크기의 페이지로 나누고 프로그램마다 페이지 테이블을 두어 이를 통해 멤리에 프로그램을 할당
- 페이징,세그멘테이션,페이지드 세크멘테이션 기법이 존재한다.
1 페이징
- 동일한 크기의 페이지 단위 나누어 메모리의 서로 다른 위치에 프로세스를 할당한다
2 세그멘테이션
- 의미 단위인 세그먼트로 나누는 방식이며 코드와 데이터 등을 기반으로 나눌 수 있고, 함수 단위로 나눌 수도 있다
3 페이지드 세그멘테이션
- 공유나 보안은 세그먼트로 나누고 물리적 메모리는 페이지로 나누는 방식
'cs' 카테고리의 다른 글
파라미터(Parameter)와 아규먼트(Argument)의 차이 (0) | 2024.06.20 |
---|---|
자료구조란 무엇일까?(스택, 큐) (1) | 2024.06.19 |
데이터베이스 유형 (0) | 2023.08.29 |
컴퓨터와 데이터베이스 (0) | 2023.08.28 |
제어장치(CU)의 핵심 기능 스케줄링 (0) | 2023.08.1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