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6 |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 이미지 포맷 변경
- gitgub actions
- 이미지 압축
- 인증서
- workflow
- ec2
- 3-Way HandShake
- tcp
- CI
- 무중단
- 리버스 프록시
- SSL
- certbot
- 로드 밸런싱
- 자동화
- SSH
- DNS
- 브라우저
- nextJS
- nginx
- webp
- TLS
- 성능 개선
- https
- 검색엔진최적화
- 렌더링 과정
- pm2
- 배포
- aws
- 이미지 최적화
- Today
- Total
목록전체 글 (103)
개발일기
📋 개요EC2 인스턴스를 만들고 나면 "보안 그룹(Security Group)"이라는 걸 설정하라는 말이 나온다.이게 바로 방화벽 역할을 하는데, 그 중에서도 중요한 게 바로 인바운드 규칙이다.설정을 해보자.📜 인바운드 규칙이란? "누가, 어떤 방식으로, 내 서버(EC2)에 접근할 수 있게 할 것인가?"를 정하는 거다.예를 들어, 브라우저에서 https://내사이트.com으로 접속하거나, 터미널에서 EC2에 접속할 수 있으려면,그에 맞는 **포트(port)**를 열어줘야 한다.🚪 포트 번호란?포트는 컴퓨터에서 특정 서비스로 연결되는 문 같은 거다.프로토콜 마다 정해진 포트가 있는데 이것은 "정해진 약속" 이라고 한다.HTTP로 443 포트를 사용할 순 있지만 브라우저에 포트를 입력해 주어야 한다.브..

📋개요aws 배포를 하려고 한다. 이전에 한번 했었지만 백엔드 서비스의 알수없는 오류 때문에 다시 해야한다.내가 알기로는 1년 무료 요금제가 있었던것 같은데 최근에 무료 요금제로 EC2를 사용했었는데 요금이 부과 되었다.그래서 요금제에 대해 찾아 봤는데 스치듯 봤던 글에 무료 요금제를 사용해도 4$가 부과될 수 있다라는 글을 본적이 있다.그리고 나의 통장에선 돈이 빠져 나갔다.하지만 어쩌겠는가.일단은 aws 배포를 해보자. ❓ EC2(Elastic Compute Cloud) 란 무엇인가?EC2란 AWS에서 제공하는 클라우드 컴퓨팅 서비스다.인터넷에서 서버 컴퓨터를 빌려서 내가 원하는 OS, 앱, 백엔드 등을 설치해서 사용하는 것이다.쉽게 말해, 아마존에 돈을 지불하고 한 대의 컴퓨터를 임대하는 것이다...
✅ 객체의 기본 구조const obj = {key : value,};객체는 기본적으로 키(key)와 값(value)로 이루어져 있음 1️⃣ 점 표기법const obj = {key : value,};console.log(obj.key); // Expected output: "value" 가장 일반적인 방식정적인 키를 접근할 때 사용문자열이 아니라 실제 키 이름이어야 함 2️⃣ 대괄호 표기법 - 문자열const obj = {key : value,};console.log(obj["key"]); // expected output: "value" 키 이름을 문자열로 직접 쓸 때 사용 키에 공백, 특수문자가 있거나 숫자로 시작할 때도 사용 가능 const obj = {"my key": 123};console.lo..

개요Next.js에서 NextAuth를 이용해 로그인/회원가입 기능을 구현할 때,존재하지 않는 아이디 이거나 비밀번호가 일치하지 않을 시 등의 상황에서 적절한 검증이 필요하다.처음엔 이런 오류를 처리하려면 어떻게 해야 할지 고민이 많았는데, 해결 방법을 찾다가 redirect 옵션을 발견 했다.그래서 redirect가 어떤 역할을 하는지에 대해 포스팅 하려고 한다. redirectredirect는 우선 credentials및 email providers에서만 제공되는 옵션이다. NextAuth의 signIn() 함수에는 여러가지 옵션이 있는데 그 중에서 redirect라는 옵션이 있다.redirect은 boolean값인 true값과 false값을 가질 수 있는데 만약 사용하지 않는다면 true값과 동일한..
식별자-하나의 엔터티에 구성된 여러 개의 속성 중에 엔터티를 대표할 수 있는 속성을 나타냄- 하나의 유일한 식별자가 존재해야 함- 식별자는 논리 모델링에서 사용하는 용어, 물리 모델링에서는 키(key)라고 표현 ex) 학생 엔터티의 주식별자는 학생번호 속성 => 학생 테이블의 기본키는 학생번호 컬럼 (논리 모델링) (물리 모델링)주식별자 특징1. 유일성 : 주식별자에 의해 모든 인스턴스를 유일하게 구분함 ex) 학생 엔터티에서 이름 속성은 동명이인이 발생할 수 있으므로 모든 인스턴스를 완벽하게 구분할 수 없으므로 학생번호와 같은 유일한 식별자를 주식별자로 사용2. 최소성 ..
관계- 관계는 엔터티간의 연관성을 나타낸 개념- 관계를 정의할 때는 인스턴스(각 행 데이터)간의 논리적인 연관성을 파악하여 정의- 엔터티를 어떻게 정의하느냐에 따라 변경되기도 함관계의 종류1. 존재적 관계- 한 엔터티의 존재가 다른 엔터티의 존재에 영향을 미치는 관계- 엔터티 간의 연관된 상태를 의미ex) 부서 엔터티가 삭제되면 사원 엔터티의 존재에 영향을 미침2. 행위적 관계- 엔터티 간의 어떤 행위가 있는 것을 의미ex) 고객 엔터티의 행동에 의해 주문 엔터티가 발생 ※ ERD 에서는 존재관계와 행위관계를 구분하지 않는다.관계의 구성1. 관계명2. 차수(Cardinality)3. 선택성(Optionality)관계의 차수 (Cardinality)- 한 엔터티의 레코드(인스턴스)가 다른 엔터티의 레코드(..
속성(Attribute)- 속성은 업무에서 필요로 하는 고유한 성질, 특징을 의미(관찰 대상) -> 컬럼으로 표현할 수 있는 단위- 업무상 인스턴스로 관리하고자 하는 더 이상 분리되지 않는 최소의 데이터 단위- 인스턴스의 구성 요소 ex) 학생 엔터티에 이름, 학번, 확과번호 등이 속성이 될 수 있음엔터티, 인스턴스, 속성, 속성값의 관계- 한개의 엔터티는 2개 이상의 인스턴스의 집합이어야 한다(하나의 테이블은 두개 이상의 행을 가짐)- 한개의 엔터티는 2개 이상의 속성을 갖는다(하나의 테이블은 두개 이상의 컬럼으로 구성됨)- 한개의 속성은 1개의 속성값을 갖는다(각 컬럼의 값은 하나씩만 삽입 가능)-속성은 엔터티에 속한 엔터티에 대한 자세하고 구체적인 정보를 나타냄, 각 속성은 구체적인 값을 가짐속..
엔터티(Entity)- 현실 세계에서 독립적으로 식별 가능한 객체나 사물을 나타냄- 엔터티는 업무상 분석해야 하는 대상(Instance)들로 이루어진 집합- 인스턴스는 엔터티의 특정한 속성 값들로 구성되며, 엔터티의 개념을 현실에서 구체적으로 나타낸 것 예) 엔터티와 속성, 인스턴스 등의 관계엔터티(Entity) 의 특징1. 유일한 식별자에 의해 식별 가능- 인스턴스가 식별자에 의해 한 개씩만 존재하는지 검증 필요- 유일한 식별자는 그 엔터티의 인스턴스만의 고유 이름 ex) 이름은 동명이인이 있을 수 있으므로 사번, 학번 등이 고유식별자 2. 해당 업무에 필요하고 관리하고자 하는 정보- 설계하는 업무의 시스템 구축에 필요한 정보여야 함 ex) 학교 시스템 구축 시 학생정보 필요. 다른 업무엔 학생..